반응형

I. find 함수

  • 컬렉션 : "users" 
  • 조건 : "age" 컬럼값이 18보다 큰 데이터
  • 조회 컬럼(projection) : "name", "address" (1 일 경우 조회, 0 일 경우 비조회)  
  • 조회 필터(limit 함수) : 상위 부터 5개 도큐먼트(document) 조회


■ 조회 관련 함수

I. sort 함수

sort({컬럼: 1 or -1})
컬렉션의 도큐먼트를 조회할 경우 컬럼에 따른 정렬방식을 지정하고 조회.( 1 : 오름차순 , -1 : 내림차순)

II. limit 함수

limit(num)
컬렉션의 도큐먼트를 조회할 경우 상위부터 num 갯수 만큼 조회.

III. skip(num)

skip(num)
컬렉션의 도큐먼트를 조회할 경우 상위부터 num 갯수 만큼 건너뛰고 조회
반응형

'DataBase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연산자 정리  (0) 2020.06.01
[MongoDB] Create Operations  (0) 2020.06.01
[MongDB] 기본 명령어  (0) 2020.05.31
[NoSQL] MongDB 설치 방법  (0) 2020.05.28
반응형

■ 비교 연산자

I. $gt or $gte

{ 필드: { $gt: 값 } }
필드값이 해당 값보다 큰 필드를 찾는다. (e를 붙이면 크거나 같다)

II. $lt or $lte

{ 필드: { $lt:  } }
필드값이 해당 값보다 작은 필드를 찾는다. (e를 붙이면 작거나 같다)

III. $eq

{ 필드: { $eq:  } }  =  { 필드: 값}
필드값과 해당 값이 같은 필드를 찾는다. 

IV. $ne

필드값과 해당 값이 같지 않은 필드를 찾는다.

V. $in or $nin

{ 필드: { $in: [ 값1, 값2, 값3, ... ] }
필드값이 해당 값들 중에 존재한다면 조건 성립 (n이 붙으면 해당 값들 중에 존재하지 않을경우 조건 성립)

■ 논리 연산자

I. $or or $nor

{ $or: [{ 조건1 }, { 조건2 }, ...] }
$or은 여러 개의 조건 중에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도큐먼트(document)를 찾는다.
(n이 붙으면 여러 개의 조건에 모두 만족하지 않는 도큐먼트(document)를 찾는다.

II. $and 

1) 조건이 복잡한 경우

{ $and: [
     { $or: [{ 조건1 }, { 조건2 }] },
     { $or: [{ 조건3 }, { 조건4 }] }
 ] }

2) 조건이 단순할 경우

{ 필드: 값, 필드: 값 }
여러 개의 조건에 모두 만족하는 도큐먼트(document)를 찾는다

III. $not

{ $not: { 조건 } }
$not은 뒤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도큐먼트(document)를 찾습니다. $nor의 단일 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IV. $regex

{ 필드: { $regex: /값/}}  or  { 필드: /값/}

예시 1) '/a'
a 로 끝나고 a 앞에 무슨값이든 존재할경우 조건에 성립 

조건성립데이터
= aa, aba, abca
예시 2) 'a/'
a 로 시작하고 a 뒤에 무슨값이든 존재할경우 조건에 성립

조건성립데이터
= aa, abc, abdcd
예시 3) '/a/'
a의 앞뒤로 무슨값이든 존재할경우 조건에 성립

조건성립데이터
= aaa, bab, baab
반응형

'DataBase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Read Operations  (0) 2020.06.01
[MongoDB] Create Operations  (0) 2020.06.01
[MongDB] 기본 명령어  (0) 2020.05.31
[NoSQL] MongDB 설치 방법  (0) 2020.05.28
반응형

I. createCollection 함수를 이용한 컬렉션 생성

"people" 컬렉션 생성


II. insertOne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삽입과 동시에 컬렉션 생성

"usr_id","age","status" 3개의 컬럼을 갖는 "people" 컬렉션 생성

 

 

반응형

'DataBase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Read Operations  (0) 2020.06.01
[MongoDB] 연산자 정리  (0) 2020.06.01
[MongDB] 기본 명령어  (0) 2020.05.31
[NoSQL] MongDB 설치 방법  (0) 2020.05.28
반응형
show dbs;
전체 데이터베이스 조회
use db명;
1) db명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연결)

2) db명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없으면 생성( 내용(컬렉션 등..)이 없을경우 접속을 끊으면 없어진다. )
db;
현재 접속(연결)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명을 보여준다.
show collections;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컬렉션 조회

 

반응형

'DataBase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Read Operations  (0) 2020.06.01
[MongoDB] 연산자 정리  (0) 2020.06.01
[MongoDB] Create Operations  (0) 2020.06.01
[NoSQL] MongDB 설치 방법  (0) 2020.05.28
반응형

■ MongoDB

크로스 플랫폼 도큐먼트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NoSQL 데이터베이스로 분류되는 몽고DB는 JSON과 같은 동적 스키마형 도큐먼트들(BSON)을 선호함에 따라 전통적인 테이블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사용을 삼간다.


 설치 경로

www.mongodb.com/

 

The most popular database for modern apps

We're the creators of MongoDB, the most popular database for modern apps, and MongoDB Atlas, the global cloud database on AWS, Azure, and GCP. Easily organize, use, and enrich data — in real time, anywhere.

www.mongodb.com


설치 순서

▶ Community Server 선택

▶ 원하는 Version, OS 선택

Download 버튼 클릭 

▶ Next 버튼

▶ I accept the terms in the License Agreement 체크

▶ Next 버튼 클릭

▶ Complet 버튼 클릭

▶ 설치 경로 및 서비스 이름 확인

▶ Next 버튼 클릭

▶ Install MongoDB Compass 체크 해제

▶ Next 버튼 클릭

▶ Install 버튼 클릭

▶Finsh 버튼 클릭


MongoDB 환경 설정

(폴더) 내PC로 이동

▶ (폴더 빈공간) 마우스 우 클릭

 '속성' 클릭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

 '시스템 속성 '화면

 '고급' 탭

 '환경 변수' 버튼 클릭

Path 선택

편집 버튼 클릭

새로 만들기 버튼 클릭

▶ MongoDB Server의 bin 폴더로 설정

필자는 아래 경로에 위치

[C:\Program Files\MongoDB\Server\4.2\bin] 


MongoDB 서버 구동

▶ 일반 프롬프트(cmd) 창에서 mongod 실행

DB의 Path 설정위치에 해당 폴더(C:\data\db\)가 없기 때문에 서버 구동 불가능

※ DB의 Path 설정 가능(명령어 : mongod - dppath "DB폴더 경로")

폴더(C:\data\db\) 생성

일반 프롬프트(cmd) 창에서 mongod 재실행

서버 구동 완료!!!

※ MongoDB 작업을 위해 서버 프롬프트는 끄지않고 MongoDB 접속 후 진행한다.(중요) 

상위 DB의 Path 경로(C:\data\db\) 확인 환경 설정이 완료된걸 알 수 있다.

 일반 프롬프트(cmd) 창에서 mongo 실행

MongoDB 접속완료!!!!!

반응형

'DataBase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Read Operations  (0) 2020.06.01
[MongoDB] 연산자 정리  (0) 2020.06.01
[MongoDB] Create Operations  (0) 2020.06.01
[MongDB] 기본 명령어  (0) 2020.05.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