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iptime 포트포워딩 설정 작업

첫번째, iptime 관리자 사이트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두번째, Windows 10 방화벽 포트 설정


1. iptime 관리자 사이트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 iptime 관리자 사이트로 접근

  •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0.1 로 이동
  • 로그인 정보 입력 (초기 로그인 정보는 이름, 암호가 admin 으로 설정 되어 있다.)
  • 로그인

■ iptime 관리도구로 접근

iptime 포트포워딩 설정

  • 고급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딩 설정 탭으로 이동
  • [규칙 이름] 작성
  • [내부 IP 주소] 작성
  • [프로토콜] 설정
  • [외부 포트] 작성(외부에서 포트 접근시 사용할 포트 입력)
  • [내부 포트] 작성(내부에서 기동중인 포트 입력)
  • [적용] 버튼 클릭

설정값은 독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


2. Windows 10 방화벽 포트 설정 

  • Window 키 + R (윈도우 검색창에 실행 검색)
  • wf.msc 입력 후 확인

  • [인바운드 규칙] 탭으로 이동 
  • [새 규칙 ...] 클릭

  • 규칙 종류 중 [포트] 선택
  • [다음] 클릭

  • 규칙 [TCP(T)] 선택
  • [특정 로컬 포트(S)] 선택
  • 포트포워딩할 포트 입력
  • [다음] 클릭

  • [연결 허용(A)] 선택
  • [다음] 클릭

  • 도메인(D), 개인(P), 공용(U) 선택
  • [다음] 클릭

  • 이름 작성 (어떤 규칙인지 확인이 쉽게 이름을 설정)
  • [마침] 클릭


반응형
반응형

■ iptime DDNS 설정

■ iptime 관리자 사이트로 접근

  •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0.1 로 이동
  • 로그인 정보 입력 (초기 로그인 정보는 이름, 암호가 admin 으로 설정 되어 있다.)
  • 로그인
반응형

■ iptime 관리도구로 접근

■ DDNS 등록

  • 고급 설정 > 특수 기능 > DDNS 설정 탭으로 접근
  • 호스트이름, 사용자 ID(이메일) 입력
  • DDNS 등록 버튼 클릭
  • DDNS 등록 확인
반응형

■ DDNS로 관리자 사이트 접근 확인

  • 웹 브라우저에서 위에서 설정한 DDNS로 접근
  • 정상적으로 iptime 관리자 사이트로 접근되는지 확인 

반응형
반응형

■ iptime 고정 IP 설정

■ iptime 관리자 사이트로 접근

  •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0.1 로 이동
  • 로그인 정보 입력 (초기 로그인 정보는 이름, 암호가 admin 으로 설정 되어 있다.)
  • 로그인
반응형

■ iptime 관리도구로 접근

■ DHCP 서버 설정에서 IP주소 대여 범위 확인

  •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탭으로 이동
  • [DHCP 서버 설정] 탭에서 IP주소 대여 범위 확인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속성 수정

  • 제어판 > 모든 제어판 항목 > 네트워크 연결로 이동
  • 연결 중인 네트워크의 속성에 접근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의 속성에 접근

  • [DHCP 서버 설정에서 IP주소 대여 범위]에서 확인한 IP 범위 중 고정 IP로 설정하고 싶은 값으로 수정 (필자의 경우 : 임의로 192.168.0.100 로 수정)
  • IP 주소 이외에 설정값은 필자와 동일하게 설정해도 무관하다.
반응형

* DNS 설정 참고

KT

  • 기본 DNS 서버 : 168.126.63.1
  • 보조 DNS 서버 : 168.126.63.2

LG U+

  • 기본 DNS 서버 : 164.124.101.2
  • 보조 DNS 서버 : 203.248.252.2

SKT

  • 기본 DNS 서버 : 219.250.36.130
  • 보조 DNS 서버 : 210.220.163.82

구글

  • 기본 DNS 서버 : 8.8.8.8
  • 보조 DNS 서버 : 8.8.4.4

■ DHCP 서버 주소 관리에 고정 IP 추가

  •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DHCP 서버 설정탭으로 이동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의 속성에서 설정한 고정 IP를 [사용중인 IP 주소 정보] 탭에서 확인 후 등록
  • [등록된 주소 관리] 탭에서 정상적으로 등록되었는지 확인

반응형
반응형

■ 윈도우 10 예약 종료

1. Windows Power Shell 기동

  • 윈도우 창에서 [Windows Power Shell] 입력

2. 예약 종료 명령어 실행

예시) 30분(1800초) 후 예약 종료

shutdown -s -t 1800

3. 예약 확인


■ 윈도우 10 예약 취소

1. 예약 취소 명령어 실행

shutdown -a

2. 예약 취소 확인


■ 참고) Shutdown 관련 다양한 명령어 확인

shutdown -t

반응형
반응형

■ GiGA WiFi home 사이트 접속

  • 웹 브라우저 실행 
  • URL 창에 172.30.1.254 실행
  • 로그인

* 초기 아이디/비밀번호 : ktuser/homehub

■ 포트 포워딩

  • 장치설정 > 트래픽 관리 > 포트 포워딩 설정
  • 외부 포트 : 외부에서 접근할때 사용될 포트 / 예시) 9090 ~ 9090
  • 내부 IP 주소 : 로컬 내부 IP 확인 방법은 *아래 링크 참조
  • 내부 포트 : 내부에서 작동중인 포트 / 예시) 8080 ~ 8080
  • 프로토콜 : 통신 방법에 따라 설정 / 예시) ALL

 

[Windows 10] KT 공유기 내부망 고정 IP 설정

■ GiGA WiFi home 사이트 접속 웹 브라우저 실행 URL 창에 172.30.1.254 실행 로그인 * 초기 아이디/비밀번호 : ktuser/homehub ■ DHCP 코넷 IP 사용 범위 설정 장치설정 > 네트워크 관리 > LAN 연결 설정 화면..

hyunmin1906.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 GiGA WiFi home 사이트 접속

  • 웹 브라우저 실행 
  • URL 창에 172.30.1.254 실행
  • 로그인

* 초기 아이디/비밀번호 : ktuser/homehub

반응형

■ DHCP 코넷 IP 사용 범위 설정

  • 장치설정 > 네트워크 관리 > LAN 연결 설정 화면으로 이동
  • 독자가 사용할 IP의 DHCP 코넷 IP 사용 범위 설정
  • (필자의 경우 IP 범위를 45 ~ 50까지로 설정)

■ 인터넷 프로토컬 설정

  •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연결 화면으로 이동
  • 이더넷 속성으로 이동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속성으로 이동

  • 다음 IP 주소 사용(S): 선택
  • 위에서 설정한 [DHCP 코넷 IP 사용 범위]에 해당되는 IP로 설정 (필자의 경우 45로 설정)
  • DNS는 아래 [* DNS 설정 참고] 를 확인
  • 그 외의 항목은 필자와 동일하게 작성해도 무관하다.


* DNS 설정 참고

KT

  • 기본 DNS 서버 : 168.126.63.1
  • 보조 DNS 서버 : 168.126.63.2

LG U+

  • 기본 DNS 서버 : 164.124.101.2
  • 보조 DNS 서버 : 203.248.252.2

SKT

  • 기본 DNS 서버 : 219.250.36.130
  • 보조 DNS 서버 : 210.220.163.82

구글

  • 기본 DNS 서버 : 8.8.8.8
  • 보조 DNS 서버 : 8.8.4.4

■ 고정 IP 설정 확인

  • GiGA WiFi home 화면으로 이동
  • 상태 정보 > 유무선 단말 정보로 이동
  • 위에서 설정한 IP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
반응형


■ 참고) 외부 IP 확인

* 외부 IP는 외부에서 접근할 경우 사용하며 내부 IP와 다르다.

  • 상태 정보 > 시스템 정보 > 인터넷 연결 정보 > IP 주소 확인

반응형

+ Recent posts